재산세 납부 기한, 납부 방법, 납부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2025년 재산세 미납 시 가산금은 3%부터 시작되며, 압류·공매 등 불이익이 발생합니다. 재산세 납부 기한, 방법, 체납 시 조치까지 정확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재산세 납부하지 않으면? 썸네일



재산세란 무엇인가?

재산세는 토지, 주택, 건축물, 선박, 항공기 등의 재산을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는 지방세입니다. 과세 기준일은 매년 6월 1일이며 이 날 현재 소유자에게 세금 납세의무가 발생합니다. 


왜 재산세를 납부해야 하나?

  1. 법적 의무
    지방세법, 재산세 관련 조례에 따라 납부 의무가 있으며, 납부 기한이 정해져 있습니다. 

  2. 지자체 운영 재원 확보
    도로, 복지, 공공시설 유지관리 등에 필요한 재원이 재산세로 충당됩니다.

  3. 불이익 방지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금, 압류, 신용 불이익 등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재산세 납부 기한 및 방법 (2025 기준)

항목

내용

납부 기한

- 7월 16일 ~ 31일: 주택분(1/2), 건축물, 선박, 항공기 재산세 부과. 
- 9월 16일 ~ 30일: 주택분 나머지(1/2) + 토지 재산세 일괄 부과. 
- 단, 주택 재산세 세액이 20만 원 이하이면 7월에 전액 일괄 납부 가능. 

납부 방법

- 온라인: 위택스(Wetax), 지자체 전자납부 포털(예: 서울 ETAX)
- 은행 ATM 또는 창구 납부, 전자납부번호 활용 
- ARS 전화, 모바일 앱 등


납부 안하면 어떻게 되는가?

납부기간을 넘기면 여러 가지 불이익이 생기며, 그 중 가산금(납부지연가산금)률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내용
기본 가산금 (1차 가산)납부기한이 지나면 본세(납세해야 할 재산세액)에 대해 3%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중가산금 (매월 추가 가산)체납된 본세가 일정 금액 이상인 경우(지자체에 따라 45만 원 등 기준 있음), 1개월 지날 때마다 0.66% 또는 0.75% 등 약 월 0.66~0.75%씩 중가산금이 추가 부과됩니다. 이 중가산금은 최대 60개월까지 계속됩니다.
체납처분- 재산 압류 (부동산, 자동차, 예금, 급여 등)
- 공매 처분
- 관허 사업 제한, 신용정보 제공, 고액·상습 체납자 명단 공개 등의 행정적/신용적 제재 가능
- 자동차 번호판 영치 가능성이 있는 지자체도 있어요. 

Q&A (자주 묻는 질문)

질문답변
기본 가산금은 몇% 인가요?본세의 3% 입니다.
중가산금은 언제부터 붙나요?기본 가산금 이후, 체납 본세액이 특정액 이상일 때(예: 45만 원 이상 등) 적용되며, 납부기한 초과 후 매월 일정 비율을 추가로 부과합니다. 지자체마다 세액 기준과 비율이 다소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나 위택스에서 확인하십시오.
체납이 오래되면 어떤 제재가 있나요?압류, 공매, 면허/허가 제한, 신용정보 노출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액·상습 체납자는 명단 공개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납부 기간 놓치면 바로 압류가 되나요?아닙니다. 먼저 가산금 부과 → 독촉 → 체납 처분 절차 순으로 진행됩니다. 다만 일정 금액 이상이거나 지자체의 조치 속도가 빠른 경우 절차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 및 권장 조치

재산세는 시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금(기본 3%, 이후 매월 중가산) 및 체납 처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아래 조치들을 시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납부 기한(7월 16~31일, 9월 16~30일) 달력에 미리 표시해 두기

  • 위택스 또는 지자체 포털에서 고지서 & 납세액 미리 조회하기

  • 자동이체·전자고지 설정하여 깜빡 잊는 위험 줄이기

  • 체납 가능성이 있다면 지자체에 분할납부 협의

  • 감면 조건(1세대 1주택 특례 등)이 해당되는지 반드시 확인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프로필

이미지alt태그 입력